2017년 1월 30일자
[기사 전문]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청탁금지법 시행과 얼어붙은 소비 심리 등의 영향으로 유통업계의 연중 가장 큰 대목인 설 선물 매출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만 원 이하' 선물세트 매출이 급증한 동시에 50만~100만 원 이상의 고가 선물세트가 완판되는 등 소비의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30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이달 12일부터 26일까지 설 선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줄었다.
축산(-3.1%), 농산(-3.1%), 수산(-7.4%) 등 5만 원 이상의 선물세트 대부분이 부진했다.
반면, 올해 설 선물 품목과 물량을 늘린 4만9천 원짜리 호주산 소고기 등 수입산 선물세트 매출은 126%, 5만 원짜리 굴비 등 5만 원 이하 상품은 115% 급증했다.
동시에 100만 원 이상의 한우, 굴비 등 고가의 프리미엄 신선식품 선물들 역시 한정수량이 매진됐다.
갤러리아백화점도 이달 9일부터 26일까지 설 선물세트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 줄었다.
이 백화점의 5만 원 미만의 선물세트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다.
또 50만 원 이상의 고급 와인, 정육의 프리미엄 선물세트도 지속해서 매출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갤러리아백화점 측은 전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현대백화점의 경우 지난해 26일부터 설 하루 전인 이달 27일까지 설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설 D-1 기준)보다 10.1% 줄었다.
대표적인 설 선물 상품군이었던 정육(-12.5%), 수산(-11.5%), 청과(-12.3%) 등의 판매가 부진했다. 홍삼(10.9%), 비타민(4.4%) 등 건강식품 매출은 늘었다.
대형마트 역시 설 선물세트 매출이 부진했다.
지난해 12월 8일부터 이달 27일(사전 예약 포함)까지 이마트의 설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감소했다.
과일(-9.2%), 축산(-13%), 수산(-9.7%), 주류(-5.9%), 커피·차(-2.9%), 조미료(-2.9%) 등 선물세트 매출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실속' 상품군으로 분류되는 통조림과 효도상품인 건강식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4%, 4.1% 증가했다고 이마트는 전했다.
원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30/0200000000AKR20170130036100030.HTML?input=1195m
'매출·유통업·신사업·물류 > 입법·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경제][규제 프레임에 갇힌 유통] "일자리 다 뺏길 판"…大選 포퓰리즘 입법 (0) | 2017.02.15 |
---|---|
[한국경제] 백화점 이어 대형마트까지 설 명절 매출 감소…"이례적 역신장" (0) | 2017.02.13 |
[한국일보] 김영란법에… 백화점 설 선물 매출 10% 줄었다 (0) | 2017.02.01 |
[아시아경제] '최악' 소비심리에 유통가 비상…"더 악화할 수도" (0) | 2017.01.27 |
[한국경제] 김영란법에…백화점 설 선물 매출 첫 감소 (0) |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