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1일자
[기사 전문]
정규직 취업을 위해 처음 이력서를 작성하는 나이가 평균 24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남성이 평균 25세로 여성 평균 23세보다 2세 더 높았다.
잡코리아가 4년 대졸 학력의 20대 대학생 및 구직자, 직장인 11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규직 취업을 위한 첫 이력서 작성 시기>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첫 이력서 작성 시기는 평균 24세(만 나이 아님)로 집계됐으며, 남성 응답자가 평균 25세로 여성 응답자 평균 23세 보다 2세 높았다.
/사진=잡코리아
처음 이력서를 작성할 때 취준생들은 ’자기소개서 글쓰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위해 처음 이력서를 작성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을 꼽으라는 질문에 ‘자기소개서 작성 시 글을 쓰는 자체가 어려웠다’는 답변이 응답률 68.0%(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격증/인턴경험 등 자격요건이 없어 공란으로 비워야 해서 혼란스러웠다’는 응답자가 50.8%로 절반정도로 많았다. 그 외에는 ▲지원동기(33.4%) ▲지원분야 경력(27.0%) ▲학창시절과 본인의 장단점 작성(22.5%) ▲성공한 경험과 실패한 경험(21.2%) 순으로 작성하기 어려웠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처음 입사지원한 기업에 취업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잡코리아 조사결과 정규 신입직으로 처음 입사 지원한 기업에 합격한 응답자는 10명중 3명(34.3%)에 그쳤다. 절반 이상에 달하는 65.7%는 처음 이력서를 제출한 기업에서 합격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10명 중 약 8명(77.4%)는 현재 신입직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들은 주로 스마트폰 등을 통한 ‘모바일’로 구직활동을 한다고 답했다.
‘채용공고 검색이나 취업전략 정보검색은 주로 어디에서 하는가’라는 질문에 ‘모바일 태블릿/스마트폰’이라 답한 응답자가 68.9%로 과반수이상으로 높았다.
실제 하루 평균 취업앱을 열어보는 횟수도 평균 11.1회로 높았다. 하루 취업앱 이용 횟수는 남성이 11.8회로 여성 10.4회보다 소폭 높았다.
취준생들은 취업을 통해 주로 ‘기업의 채용공고 검색’(69.4%/복수응답)을 하나, 이외에 ‘연봉정보나 기업정보를 확인한다’는 응답자도 32.1%로 많았다. 그리고 이어 취업앱을 통해 ‘입사지원서를 제출한다(29.9%)’는 취준생이 많았다.
이외에는 ‘취업전략과 채용트렌드를 검색한다(6.8%)’는 응답자도 소수 있었다.
강인귀 기자
원문보기: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100108128070955
'| 기업교육센터 > 센터취업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니 S] 열 번 찍어 안 넘어 가는 나무 있다?… 신입사원, 자소서 평균 14.4건 작성 (0) | 2018.10.17 |
---|---|
[파이낸셜뉴스] 면접질문 많이 받았다면 합격확률 높아질까? (0) | 2018.10.03 |
[머니 S] "아차!" 온라인 입사지원서 작성 실수, 60%가 합격 단념하고 다른 회사 준비 (0) | 2018.09.24 |
[머니 S] 스펙 뛰어나도 회사 잘 모르면 안 뽑는다… "입사 의지 확인" (0) | 2018.08.31 |
[노컷뉴스] 첫 직장서 月150만원 넘게 받는 청년 늘었다 (0) | 201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