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월 10일자
[칼럼 전문]
미국 해병대를 상륙군으로 재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일 미국 워싱턴 헤리티지재단 안보 토론회에서 데이비드 버거 미 해병대 사령관은 지난 20여 년 동안 미 해병대가 신속 대응군의 일환으로 이라크·아프가니스탄전 등 소규모 전투에 자원을 집중한 나머지 상륙전이라는 고유의 기능을 등한시했다고 반성하고, 이제 미 해병대는 인도·태평양에서의 새로운 도전에 맞춰 대규모 상륙전 능력을 갖춘 군대로 거듭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무인용 상륙정 등 다양한 종류의 상륙정 규모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다코타 우드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1980년대 66척에 달하던 상륙정이 최근 32척으로 줄어드는 등 미 해병대의 상륙전 역량이 감퇴했다”며 이로 인해 한반도에서 실제 작전을 수행할 때 심각한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드 선임연구원은 미국 ‘군사기술혁명(RMA)’의 산실이자, ‘아마겟돈의 마법사들’이란 별칭을 갖고 있는 국방장관 직속 총괄평가국(ONA)의 분석관 출신으로, ‘해병대 재건’론(論)을 선도하고 있다. 해군과의 통합성을 강화하고, 전면전을 상정한 상륙전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 분쟁이 본격화되기 이전 중국의 국방전략 중심은 미국의 상륙전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이는 ‘1956년 군사전략방침’에 잘 나타나 있는데, 1957년 북한·중국·소련 연합 군사훈련을 포함, 당시 중국의 대규모 군사훈련은 대(對)상륙전에 맞춰져 있었다. 마오쩌둥(毛澤東)은 인천상륙작전 트라우마에 시달렸으며, 이에 6·25전쟁 내내 상당 규모의 병력을 해안 방어에 투입해야만 했다. 이후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고 미·중 관계가 풀리면서 군사 전략의 중심은 소련을 가상 적으로 한 대(對)기갑전으로 바뀌었었다.
현대 상륙전에선 수평선 밖에서 강습상륙함 등에서 발진하는 항공수단으로 병력을 수송해 해변을 넘어가 작전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이 중요해지고 있다. 대함미사일의 발달 등으로 해안선 접근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 해병은 이를 위한 항공전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북한은 함박도에 레이더를 설치하고, 한·미 연합 상륙 훈련은 폐지·축소되고 있다. 자칫 ‘귀신 잡는 해병’이 기동 상륙군이 아닌 섬 방어 부대로 전락할까 우려된다.
황성준 논설위원
원문보기: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101001033011000002
'| 포스트 1945 > 군동원전력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일보] 미국, 아프간서도 발 빼나… 지난해 병력 2,000명 철수 (0) | 2019.10.28 |
---|---|
[머니투데이] 미국산 무기 쓰던 사우디…'드론 피격' 후 한국 오는 까닭 (0) | 2019.10.18 |
[아시아경제] "통일한국군, 남북 인적 통합 실패하면 내전 위험" (0) | 2019.10.17 |
[중앙일보] [채인택 글로벌 줌업] "경협해도 안보는 양보 안해" 중국 코 앞서 고슴도치 돼가는 대만 (0) | 2019.09.25 |
[아시아경제] 선진국 경쟁 심한 '레이저 무기'…한국도 2023년 개발완료 (0) | 2019.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