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1월 31일자
[기사 전문]
지금은 뭔가 액션을 취할 때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터키 국가안보회의(NSC)가 시리아 북서부 반군에 대한 정부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추가 조치를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터키 관영 아나돌루 통신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주재로 30일(현지시간) 저녁 4시간 동안 NSC가 열렸다고 전했다.
NSC는 성명을 통해 "이들립 지역의 민간인을 목표하는 공격을 막기 위해 추가 조치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립 주(州)는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군에 맞서온 반군의 마지막 거점이다.
반군을 돕는 터키와 정부군을 지원하는 러시아는 2018년 9월 이들립 일대에서 휴전에 합의했으나, 정부군은 지난해 4월 공격을 재개했다.
정부군은 칸셰이쿤, 마아렛 알누만 등 이들립의 요충지를 차례로 점령하고 반군을 터키 국경 쪽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이에 대규모 피란민이 터키 국경으로 밀려들자 터키 정부는 시리아 정부군에 공격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겪은 그리스 내전을 다시 상기하는 터키
터키 NSC는 또 리비아 내전 상황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NSC는 성명에서 "모든 국가에 리비아의 항구적인 휴전을 위한 노력을 지지해 달라고 요청한다"며 "터키는 유엔이 인정한 리비아 통합정부(GNA)를 계속 지원해 이 나라의 평화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비아는 '아랍의 봄' 민중봉기의 여파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무너진 이후 서부를 통치하는 GNA와 동부의 군벌 세력인 리비아국민군(LNA)으로 양분돼 내전 중이다.
구 베르사유 체제의 부활인가
NSC 성명에는 지난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중동평화구상에 대한 비판도 포함됐다.
NSC는 미국의 중동평화구상에 대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점령·파괴·압박 정책을 합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분쟁의 종결은 오직 1967년 이전 국경에 따른 독립적·주권적 팔레스타인 국가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가상 국가 왈] 1937년 이전의 독일 국경을 찾아서가 맞다. 1950년대 서독은 할슈타인 선언으로 동독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선언에는 구 독일 영토였던 폴란드 와 동프로이센의 영유권 주장도 포함되어 있었다. 서독이 이런 선언을 한 진짜 이유는 서독 내부에서 2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인 1937년 독일 국경을 기준으로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논의사항은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자국의 동부 국경을 놓고 폴란드와 재협상을 개시하기까지 분쟁 이슈로 남아 있었다. 1952년에 소련은 서독에 독일 통일하려면 구 독일 영토였던 폴란드 와 동프로이센의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미국의 중동평화구상에는 요르단강 서안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새로운 정착촌 건설을 일정 기간 동결하고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에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이 담겼다.
요르단강 서안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점령한 지역이나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팔레스타인 측은 미국의 구상에 대해 "쓰레기통으로 보내야 할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kind3@yna.co.kr
원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00131165400108?input=1195m
'| 포스트 1945 > 독일-폴란드 분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시스] ★사진자료★ 시리아 내전에 빠져든 터키군, 5명 전사에 보복 포격 (0) | 2020.02.11 |
---|---|
[한국일보] ★폴란드 서익-남익★ 내전 승기 잡은 아사드에 손 내미는 주변국 (0) | 2020.02.10 |
[연합뉴스] 시리아 북서부서 이틀간 3만6천명 피란길 올라 (0) | 2020.01.25 |
[연합뉴스] 시리아 혼란 악화…차량 폭탄테러로 터키군인 등 10명 사망 (0) | 2020.01.25 |
[연합뉴스] 시리아 북동부 폭탄 테러로 터키군 4명 사망 - 폴란드 북동부 (0) | 202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