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기사, 사실은/이슈클릭

[디지털타임스] 대박 친 ‘정용진표 만물상’ 삐에로쑈핑… 11일만에 11만명 찾았다

Jacob, Kim 2018. 7. 14. 13:37






2018년 7월 9일자





B급 콘셉트 젊은층 적극적 반응

개장 첫 주말 150m 줄 서기도





[기사 전문]




9일 서울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에 위치한 이마트의 잡화점 '삐에로쑈핑' 앞에서

고객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이마트 제공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야심작인 잡화점 '삐에로쑈핑'이 개점 11일만에 방문객 수 10만명을 돌파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다채로운 상품구성과 B급 감성의 매장 콘셉트가 젊은 층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끌어들이는 데 주효했다는 평가다.

이마트는 지난달 28일 서울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에 들어선 삐에로쑈핑의 누적 방문객 수가 11만명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개점 첫 주말인 지난달 30일에는 입장 줄이 150m까지 이어져서 고객 안전을 위해 입장 제한 시간을 뒀다. 지난 8일에는 오후 1시부터 매장 입구에 줄이 만들어지기 시작해 50m까지 이어졌다. 8일 기준 인스타그램에는 삐에로쑈핑 관련 게시물이 2만5000여건 올라왔다.




삐에로쑈핑은 일본 잡화점 돈키호테와 미국 TJ맥스에서 영감을 얻은 매장이다. 정용진 부회장은 시장조사를 위해 일본 돈키호테 매장을 직접 찾아가는 등 발품을 팔았다. 최근에도 개인 SNS에 삐에로쑈핑 홍보 영상을 올리며 살뜰히 챙겼다. 삐에로쑈핑을 온라인 쇼핑에 빠진 젊은 층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승부수로 내세웠다. 매장에는 상품들을 정신없이 매달았으며 곳곳에는 B급 감성의 문구들을 붙이며 기존 이마트 할인점과 차별화했다.

이른바 '혼돈의 탕진잼(탕진하는 재미) 블랙홀'을 콘셉트로 내세운 결과, 10∼30대가 적극적으로 반응했다. 이마트가 지난 열흘간 매장에서 신세계포인트카드 사용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 비중은 각각 17.3%, 36.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이마트(32.3%)보다 21.9%p 높은 수준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삐에로쑈핑은 복잡하게 매장을 구성해 직접 보물찾기 하듯 상품을 찾아보고 자유롭게 만지고 써볼 수 있어 비접촉 쇼핑을 선호하는 젊은 층이 호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품목별 매출 비중도 '쏠림현상' 없이 고르게 분포했다. 식품(27.1%), 화장품·리빙·애완(29.9%), 가전·토이·베이비(21.5%), 패션(21.5%) 품목이 골고루 잘 팔렸다. 특히 매장 입구 '아일랜드' 공간에서 짧게 판매하고 빠지는 '스폿'(Spot) 판매가 인기 있었다. 100∼200원짜리 과자(초콜릿, 초코바 등)는 열흘간 3만3000개가 팔렸다. 7000원짜리 '팬콧' 티셔츠는 평일에 2700여장, 주말에 3200여장이 팔렸다. 프라다 등 명품은 누적 매출 7000만원을 기록했다. 한편 이마트는 올 하반기 서울 동대문 두타에 삐에로쑈핑 2호점을 열 예정이다. 






박민영기자 ironlung@



                                                                                                                                                                                                                                                                                                                                                                                                                                                                                                                                                                                                                                                                                                                                                                                                                                                     



원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70902109932817005&ref=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