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의 독일 동부 국경+극히 제한된 양보선에 동의한다는 미국
2019년 3월 6일자
[기사 전문]
시리아에 파병했던 미군의 전면 철군을 선언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개월 여 만에 "시리아 미군 주둔을 100% 찬성한다"며 180도 달라진 입장을 밝혔다고 미 NBC뉴스가 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NBC뉴스는 미 상·하원 초당파 단체가 지난달 22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을 입수했다. 이 단체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시리아 전면 철군 결정을 보류하고 소규모 병력을 남겨두기로 한 결정을 환영한다는 뜻을 전했다.
단체는 서한에서 "시리아에 소규모의 미군 안전군을 배치하는 걸 지지한다"며 "소규모의 미 지상군과 유럽 동맹국 병력은 (시리아의) 안전을 확보하고 IS 복귀를 막는 데 필수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신(트럼프)처럼 우리는 시리아에서 얻은 모든 이익이 상실되지 않도록, 또 IS가 결코 돌아오지 못하고 이란이 더 대담해지지 않으며 미국의 이익을 공고히 하기를 노력한다"고 했다. 단체는 이어 "이 모든 것이 중요한 목표다. 국제 주둔군은 IS 격퇴에 중요한 역할을 한 시리아민주군(SDF)과 우리 나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인 터키 간 갈등을 막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단락에 큰 괄호를 그렸다. 그리고 서한의 오른쪽 상단에 자필로 "나는 100% 동의한다. 그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고 쓴 후 자신의 서명을 남겼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IS 격퇴전의 승리를 선언하며 시리아 북부 지역에 파견했던 미군 2000명의 철수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 참모들이나 동맹국과 상의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이 사안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동맹국들의 공개 비판이 이어졌고, 제임스 매티스 당시 국방장관과 브렛 맥거크 국무부 이슬람국가(IS)격퇴담당 특사가 철군 방침에 반발해 사임하는 등 거센 후폭풍이 일었다. IS 잔존 세력에 대한 우려도 그치지 않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군 400명을 시리아 현지에 잔류시키는 방안을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리아 지상군 철수는 올해 4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가상 국가 왈]
1. *1945년(현재 2019년) 3월 31일까지 폴란드 포함 이제는 몇 안 남은 소련 점령지역과 동유럽·발칸 지역에서 독일군 철수 마무리합니다.
2. 그리고 소련은 폴란드를 제외한 동유럽·발칸반도 지역은 소련군 점령으로 편입시키지 못하고 2차 대전이 종전되겠습니다.
※원 2차대전사에서 소련 지도자 스탈린은 전후 이 지역을 독자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소련군은 바그라치온 작전 이후 펼친 대공세에서 폴란드 서부로 바로 진군하지 않고 루마니아로 먼저 진군했다(야씨-카시네프 작전).
1. 원 2차대전사보다 전쟁이 약 한달 가량 빨리 종결될 것이다. 원 2차대전사에서 독일 나치스는 1945년 5월 8일, 연합군에 항복했고 그 다음 날에 소련에 항복했다.
2. 소련은 원 2차대전사처럼 유럽 대륙의 절반을 소련군 점령으로 편입시키지 못하였다. 반면, 연합국은 소련과 동유럽·발칸반도 지역에서 50 대 50으로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을 나눠가지게 되었다. 이래서 <위키피디아 왈> 연합군이 베를린을 일찍 점령했거나, 또는 연합군이 동유럽 지역까지 동진하는 것으로 역사가 바뀔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선목 기자 letswin@chosunbiz.com]
'| 포스트 1945 > 독일-폴란드 분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일보] <시론>김정은의 '3개월 시한부' 기회 (0) | 2019.03.17 |
---|---|
[연합뉴스] 터키, 시리아 '쿠르드 도시' 연결 국경 검문소 가동…장악력↑ (0) | 2019.03.07 |
[뉴시스] “러시아 육군 전력 2028년 최절정, 중국 2030년” 美육군장관 (0) | 2019.03.01 |
◈[연합뉴스] 美 시리아전략 수정에 러 태도변화…터키에 '안전지대' 협력제안 (0) | 2019.02.28 |
◆[뉴시스] 美 당국자 "시리아에 미군 400명 잔류"…백악관 발표의 2배 (0) | 201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