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 1일 작성, 2020년 3월 22일 수정
◆종족주의
민족 (국가) | 주 종족 | 부 종족 | 권한 행사 예<○ 직위> |
게르만 민족 (도이치) | V | 1. 동부전선 병력 서쪽으로 철퇴 2. 소련과 독-폴란드 국경 협상 3. 미국·영국·소련 세 나라 이해 역학관계 따짐 4. 미국과 3개월 조건부 휴전 조약 체결, 공포 5. 장군들 의견 합치시켜 1946년(현재 2020년) 까지 서부전선-중부독일 방어. 6. 살로 공화국 근거지였던 살로시에서 퇴각. 7. 프랑스,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노르웨 이 독립. ○ 동부, 서부전선 방어 최고 책임자 ○ 전쟁 수행에 1등 책임 | |
쿠르드 민족 (시리아) | V | 민족 말살 막기 위해, 1. 거주 구역 떠나 2. 그룹 단위로 분산 탈출 요망드림. ○ 3급 민간 외교관, 민족명예위원<실권없음> | |
韓민족 (한국) | V | 주한미군 철수 시한을 주한미군 대체비용 36조원 마련할 때까지 올해에서 최대 2~3년 늦추어라. ○ 3급 민간 외교관, 군사부책임위원<작전연구> |
2019년 4월 29일자
"쿠르드 점령군 반대" "석유 반출 불가" 구호 외쳐
동부는 아랍 주민이 다수…쿠르드 세력과 갈등 커져
[기사 전문]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시리아 동부 아랍 주민들이 쿠르드 세력의 '지배'에 반발, 곳곳에서 시위를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리아 동부 데이르에즈조르주(州) 여러 지역에서 최근 닷새간 쿠르드 민병대 '인민수비대'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로이터통신이 28일(다마스쿠스 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위가 발생한 곳은 부사이라, 후사인, 슈할리 등이다.
시위대는 '쿠르드의 (동부) 점령 반대'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쿠르드 세력이 동부의 석유 자원을 착취하고, 아랍 주민을 차별하고 부당하게 대우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시위대는 북동부 쿠르드 도시 하사카로 연결되는 고속도로에서 타이어를 태우며 차량 통행을 막았다.
이 도로는 오마르 유전 등 동부에서 출발한 석유 이송차량이 이동하는 경로다.
"우리 석유가 어디 있느냐? 우리의 자원을 지역 밖으로 옮기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쓰인 현수막이 걸린 동부 마을의 사진이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 유포됐다.
시리아 국영 TV는 석유를 실은 차량이 시위에 막혀 되돌리는 모습을 방송했다.
데이르에즈조르는 주민 다수가 아랍인인 지역이다.
원래 시리아 북부에서 활동한 쿠르드 민병대는 극단주의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전 과정에서 미군 주도 국제동맹군을 등에 업고 동부를 장악했다.
쿠르드 민병대가 주축인 '시리아민주군'(SDF)은 IS의 폭정으로부터 동부를 '해방'했지만 소수 쿠르드 세력의 통제가 길어지며 아랍 부족의 불만이 커졌다.
장기간 이어진 내전과 IS 점령에 따른 빈곤, 쿠르드 세력의 석유 독점, 수니파 원리주의 성향이 강한 아랍 부족과 상대적으로 세속주의 성향인 쿠르드 사이 종족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갈등이 커지고 있다.
시리아 국영 TV는 SDF가 시위대를 향해 실탄을 발사했다는 주장을 보도했다.
원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190429166900108?input=1195m
'| 뉴스기사, 사실은 > 친미비중(親美非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 [위성락의 한반도평화워치] 탈레반식 협상 꿈꿀 북한에 대비해야 한다 (0) | 2020.04.13 |
---|---|
[신동아] 조태용 前외교차관 "방역보다 시진핑 방한이 더 중요한가" (0) | 2020.04.13 |
[한국경제→미디어펜] [신간]조선 몰락 부른 고종의 외교…문재인 정부는 안녕할까?+어디 지켜봅시다. 진짜로 맞아들어가겠군요! (0) | 2020.03.22 |
[한국경제→아시아경제] [양낙규의 Defense Club]코로나에 쌓인 주한미군의 고민+상우씨 왈 (0) | 2020.03.22 |
[아시아경제] [양낙규의 Defense Club]미 연합훈련, 한국 대신 일본 택하나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