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14일자
[기사 전문]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첫 취업보다 이직을 더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이직 경험을 보유한 직장인 547명을 대상으로 '첫 취업 대비 이직의 어려움'에 대해 조사한 결과, 78.6%가 '더 어렵다'고 답했다.
14일 설문에 따르면, 이직이 어려운 이유로는 ‘원하는 조건의 기업을 찾기가 어려워서’(65.8%, 복수응답)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재직 중 준비로 시간이 부족해서’(34%), ‘경력 관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26.1%), ‘성과를 증명해야 해서’(18.6%) 등이 있었다.
이직 준비를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도 ‘지원 가능한 채용 공고 찾기’(41.9%)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 ‘연봉 협상’(17%),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16.5%), ‘경력기술서 작성’(10.8%), ‘실무 및 임원진 면접’(9.9%) 등의 순이었다.
성공적인 이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꾸준한 경력 관리’(40.2%)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본인의 직무 및 현재 능력 파악’(35.6%), ‘성과 증명을 위한 포트폴리오(경력기술서)’(11.5%), ‘현 직장 및 업계 평판 관리’(8.4%), ‘이력서 업데이트 및 공개’(2%) 등이었다.
추천하는 이직 방식으로는 ‘재직 중 이직’(78.8%)을 선택한 비율이 ‘퇴사 후 이직’(21.2%)보다 3배 이상 높아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847명) 중 67%는 연차가 높아질수록 이직이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채용 포지션이 많지 않아서’(45.4%, 복수응답), ‘높은 연봉을 부담스러워해서’(40.4%), ‘보여줄 수 있는 성과가 필요해서’(29.8%), ‘실무능력만큼 관리자 역량도 필요해서’(29.4%) 등을 들었다.
'| 기업교육센터 > 센터취업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합뉴스] 직장인 10명 중 3명 "학벌로 인한 소외감 느낀다" (0) | 2017.06.26 |
---|---|
[연합뉴스] "2030 직장인 10명중 6명, 입사 1년내 조기퇴사 경험" (0) | 2017.06.22 |
[강원일보] 구직자 4명 중 1명 “취업실패 원인 부족한 경력” (0) | 2017.06.13 |
[머니S] 구직자 45%, "하반기 기업 경기 ‘상반기와 비슷'" (0) | 2017.06.01 |
[노컷뉴스] '유전취준' 구직자 80% "경제적 부담돼 준비 못한 스펙 있다" (0) | 2017.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