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기사, 사실은/친미비중(親美非中)

[매일경제] 미·일 vs 북·중·러 만나는 동북아외교 `슈퍼위크`…韓은 외톨이

Jacob, Kim 2019. 4. 24. 11:20








2019년 4월 21일자





24~25일께 북·러 정상회담
26~27일엔 중·러 만나 친교
訪美 日아베, 트럼프와 골프
文, 23일부터 외교일정 없어

남북회담 1주년에 북한 불참





[기사 전문]





한국 외교가 실종됐다. 한반도 주변 4강인 미국·중국·일본·러시아는 물론 북한까지 더해 동북아시아 외교전 '슈퍼 위크'가 이번주 시작된다.

북·중·러와 미·일이 같은 시기, 다른 자리에서 결속을 다지며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논의하지만 비핵화 최대 당사자인 한국의 외교는 자취를 감췄다. 한국 정부가 심혈을 기울이는 남북정상회담 1주년 기념 4·27 행사조차 북한의 참석이 불투명하다.




21일 각국 정부와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북한은 24~25일 극동 지역에서 북·러정상회담을 하고 외교 반경을 중국에서 러시아로 확대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한 직후 곧바로 중국 베이징으로 가서 일대일로포럼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러정상회담을 한다. 같은 시기 미국 워싱턴DC에서는 1박2일 일정으로 미·일정상회담이 열린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문을 통해 "푸틴 대통령 초청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4월 하순에 러시아를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23일 김 위원장이 열차로 출발해 24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




북한은 이번 회담을 통해 하노이 회담 결렬로 실추됐던 김 위원장의 명예를 회복하고 북·러 동맹의 굳건함을 과시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에 북핵 수석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러시아 모스크바로 급파해 북한 비핵화 의제와 대북제재 이행 등에 관해 미리 조율하는 모습을 보였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만난 뒤 25~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일대일로포럼에 참가하기로 했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26~27일 중·러정상회담을 한다. 김 위원장은 여기에 참여하지 않지만 지난 17일 시 주석에게 친서를 보내 북·중 간 우의를 이어가자는 메시지를 전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국무위원장으로 재추대된 뒤 이를 축하하는 시 주석의 축전을 받고 "제일 먼저 진정 어린 따뜻한 축하의 인사를 보내셨다"며 "조선반도의 정세 흐름이 매우 관건적인 시기에 들어선 오늘 조중 친선 협조 과계를 더욱 귀중히 여기겠다"는 내용의 답신을 보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6일 워싱턴DC로 향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난다. 아베 총리는 이날 미·일정상회담 뒤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의 49번째 생일 축하연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27일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골프 라운드에 나서 친교를 다질 전망이다.

이러한 와중에 지난 18일 미국이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 기밀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일본 방위성에 제안했다는 요미우리신문 보도가 나왔다. 미국은 그간 한번도 외국에 F-35 관련 기밀 정보를 주겠다고 밝힌 적이 없어 '파격 제안'으로 받아들여진다.




반면 한국은 문 대통령이 23일 국내로 복귀한 이후 뚜렷한 대외 스케줄이 없다. 27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개최하지만 북한의 불참으로 '반쪽' 행사로 치러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행사에 대해 북측에 적절한 시점에 통지할 계획"이라며 "아직 (통지를) 안 했다"고 밝혔지만 남측이 행사 계획을 통지하더라도 북측이 참가 의사를 밝힐 가능성은 크지 않다.

북한은 최근 우리 정부가 제안한 대북특사 파견에도 별다른 답이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은 "한국의 외교 고립화 현상이 심하다는 걸 보여주는 한 주가 될 것"이라며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주변국과 관계를 어떻게 이끌어갈지도 고민했어야 하는데 그게 없었다는 게 드러나고 있다"고 짚었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우리 정부가 자초한 부분이 있다"며 "남북 관계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이를 중장기적인 동북아 지역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정훈 기자]






원문보기: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04/247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