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24일자
[기사 전문]
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북-러 정상회담에서 대북제재 완화와 단계적 비핵화 방안을 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고강도 대북제재에 따른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북-러간 경제지원 및 협력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이라는 얘기다. 아울러 군 안팎에선 양국간 무기 도입 관련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때도 러시아제 무기 구매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기 때문이다.
앞서 2015년 5월엔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무산된 직후 러시아가 S-300 지대공 요격미사일의 대북 판매를 거절했기 때문이라는 외신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낙후된 방공망이 최대 취약점인 북한이 당시 전투기와 순항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는 S-300 미사일 4개 포대의 판매를 러시아에 요구했다가 ‘퇴짜’를 맞았다는 것이다. 당시 러시아는 역내 전략적 균형 붕괴를 우려하면서 중국의 사전 양해를 조건으로 내세워 S-300의 판매를 거부했고, 이에 불만을 품은 김 위원장이 러시아 방문을 전격 취소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러시아가 옛 소련 시절(1980년대 초)에 개발한 S-300 미사일은 레이더로 적기나 미사일을 포착하면 차량에 탑재된 원통형 발사관에서 발사된다. 최대 요격 고도는 30km, 최대 사거리는 150km에 달하는 우수한 대공 시스템으로 미국의 패트리엇 미사일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는 미국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S-300을 이란과 시리아에 판매한 바 있다.
일각에선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한국군의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 등 한미 양국군의 군사위협을 내세워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에게 S-300과 같은 고성능 방공무기 도입을 요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군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 협조의 반대급부로 북한의 부실한 방공망을 보강할 재래식 무기 원조를 러시아에 거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첨단 방공무기는 유엔의 대북 판매금지 무기인데다 대북제재에도 정면 위배돼 북한이 설령 요구해도 러시아가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많다. 군 관계자는 “이란, 시리아와 북한의 경우는 다르다”면서 “러시아가 미국과 정면대결을 불사하지 않고서는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가진 북한에게 강력한 방공무기를 제공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트 1945 > 군동원전력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 1발 쏘는데 4분 넘게 걸렸는데…北 신형 자주포 확 달라졌다 (0) | 2019.05.12 |
---|---|
[뉴시스] 미 국방부, "2018년 해외 미군 작전으로 민간인 사망자 120명" (0) | 2019.05.03 |
[아시아경제] 韓美 아·적군 식별장치 엇박자‥유사시 전력공백 (0) | 2019.05.01 |
[뉴스1] "탈레반보다 미군·아프간군이 민간인 더 살해"…UN보고서 (0) | 2019.05.01 |
[파이낸셜뉴스] 터키, 지난해 국방비 지출 증가폭 세계 최대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