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국가 왈] 앞서 아데나워 정부, 1947년 vs 서독 아데나워 정부, 1949년라고 기술했다. 역시 폼페이오 장관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비밀 무기' 라는 별칭이 딱 맞는 표현 같다. 그런 미묘한 서술 차이를 알아채다니. 이전 기사에서도 봤다. 이란이 미사일 부품을 암시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알아낸 뒤, 암시장에서 구매한 미사일 부품을 미묘하게 틀어버린 그것을 구매하게 만들어서 시험 발사 시 성공 못하게 막지 않았는가. 궁극적으로 그가 하고자 한 말은 '서독'을 떼어낸 아데나워 정부는 독일 중립 정부, 즉 통독 정부로서 미국이 진짜 원한 독일 정부는 아니라는 뉘앙스다.
만약 역사가 반대로 흘러갔다면 통독 정부는 미소 양쪽에서 어느 한 편에 서기 보다 등거리 외교, 실용 외교를 통해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고자 했을 것이다. 더불어 미소냉전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통독 정부는 프랑스의 격렬한 반대 속에서 연합국 4개국으로부터 자위권 범위 내에서의 군사력 보유만 어렵사리 허가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요약하면, 통독 정부는 재무장을 실제 역사처럼 나토를 위시한 미국의 강요가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해나갈 순 있었을 것이나 연합국 4개국으로부터 군사력 보유 제한을 더 엄격하게 강요당했을 것이다.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인도 순방길에 오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아프가니스탄을 전격 방문해 카불에서 아슈라프 가니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을 만났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의 아프가니스탄 방문은 9월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가니 대통령과 탈레반과 진행 중인 평화회담과 안보상황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금 세상에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헌신을 잊기 쉬울 때도 있다"면서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잊지 않고 있다는 것과 아프가니스탄 국민이 잊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전 세계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아프가니스탄 방문은 지난 18년간 지속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정치적 해결책 마련을 위한 탈레반 지도자들과 미국 관리들 간의 제7차 평화회담이 실시되기에 앞서 이루어졌다. 이 평화회담은 오는 29일 도하에서 시작될 예정이다.
평화회담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병력을 철수시키는 일정과 탈레반 측이 아프가니스탄 영토에서 공격을 도모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1. 폼페이오 장관은 "탈레반에게 우리 병력을 철수시킬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평화가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아프가니스탄이 다시는 국제 테러의 발판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양측이 아프가니스탄 영토가 다시는 테러분자들의 안전한 피난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국민들과 함께 하겠다는 탈레반의 공언을 요약한 초안을 거의 마무리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탈레반과의 협상을 위한 모멘텀은 꾸준하게 구축되고 있다. 잘마이 칼릴자드 미국 아프가니스탄 특별대사는 평화 과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반란 지도자들은 처음으로 협상에 진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가니 대통령은 탈레반과의 대화도 거듭 제안했지만, 탈레반은 가니 정부와 직접 대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2. 폼페이오 장관은 "테러와 외국군의 주둔에 대한 미국-탈레반 양자 간의 이해를 마무리하는 것이 아프가니스탄 내 대화와 협상의 문을 열 것이라는 데 모든 양측이 동의하고 있다"며 "다음 단계의 핵심은 미국의 노력"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아프가니스탄 정부나 아프가니스탄 국민을 대표하여 탈레반과 협상하는 것이 아니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덧붙였다.
'| 포스트 1945 > 독일-폴란드 분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시스] "트럼프, 내년 11월까지 아프간 전면 철군 원해" NBC (0) | 2019.08.14 |
---|---|
[뉴시스] 美,탈레반과 휴전 잠정 합의…아프간서 병력 수천명 철수 (0) | 2019.08.14 |
[매일경제] [필동정담] 70년 순망치한의 北·中 (0) | 2019.06.23 |
[연합뉴스] "이스라엘, 시리아 남서부 미사일 공격…사상자는 없어"+ (0) | 2019.06.23 |
[문화일보] <오후여담>헬싱키 프로세스와 인권 / 이도운 논설위원 (0) | 2019.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