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1945/인·태-한국-북핵-통일

[뉴스1] 美 전직관리들 "주변국과 대북 정보 공유 강화해야"

Jacob, Kim 2020. 4. 27. 21:17







2020년 4월 24일자





[기사 전문]





위중설 추측 보도·과잉대응 안된다고 지적…VOA






(서울=뉴스1) 나혜윤 기자 = 미국 전직 외교·안보 고위 관리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위중한 상태라는 보도에 대해 추측을 삼가면서 과잉 대응을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24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을 지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C) 아시아담당 수석 부소장 마이클 그린은 "스탈린주의적 왕조 체제에서 승계 과정이 진행될 때는 언제나 불안정성과 불예측성 위험이 커지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미동맹은 일본, 유엔군사령부 소속 주요 국가들과 함께 정보 공유와 전략적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며 "중국과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야기된 불신을 뚫고 더 나은 대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북 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 단계를 격상하거나 군사 준비태세를 노골적으로 강화해 북한의 피해망상을 자극하는 대신 절제된 방식을 취하면서도 강력한 집중이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세바스천 고르카 전 NSC 부보좌관은 "잔인한 공산 체제가 모두 그렇듯이 김정은 정권도 매우 취약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계속 약화시키고, 일본, 한국과 같은 동맹, 친구들과의 관계는 강화하면서 이들을 안심시키는 현재의 접근법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미국 차석대표는 "북한의 권력을 누가 잡고 있든, 미국과 한국은 2018년 싱가포르 공동성명과 판문점 선언의 이행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북한의 위기 상황에 대비한 동맹 차원의 사전 지침을 수립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밝히며 "한미 양국 사이에 존재하는 현 정치 환경 속에서는 두 나라가 같은 방식으로 상황을 인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VOA에 따르면 전직 관리들은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 가능성을 공공연히 거론하는 것을 극도로 경계했다. 특히 북한에서 실제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이 맡게 될 잠재적 역할 등을 언급하는 것도 성급하다고 선을 그었다는 설명이다.

그린 부소장은 "중국이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쪽으로 일찍 움직였고 이것이 그가 처형된 이유일 것"이라면서 "북한 정권은 외부 개입에 저항할 것이다. 채널을 열어둬야 하지만 중국보다 선수를 치는 게 통할 것이라고 기대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고르카 전 부보좌관도 북한이 급변 사태를 겪을 경우 중국의 즉각적 개입을 막기 위해 미국과 한국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기 원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분명히 반대했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