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28일자
11번가·엘롯데 매출 전년비 81%50%↑… 맞불 특수
각 유통업체, 내수진작 '해외직구족' 잡기 나서
[기사 전문]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국내 유통업계가 미국의 최대 쇼핑축제 '블랙프라이데이'에 맞서 감행한 맞불 할인 대전이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그룹·G마켓·11번가 등이 각각 '블랙페스타' '블랙세일'로 맞불을 놓아 온라인몰 매출이 50~80% 이상 신장해 웃음꽃을 피웠다.
한국 시간으로 24일 오후 2시부터 25일 오후 5시까지 진행된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 연간 소비의 20%가 발생하는 연말 세일 기간이다.
◇롯데유통BU, 한 발 앞선 '블랙페스타' 맞불 효과 톡톡
28일 롯데유통BU에 따르면 11개 유통계열사가 전국 1만1000여개 매장에서 블랙프라이데이에 대응한 '롯데블랙페스타(11월16일~11월22일)' 행사를 연 결과 롯데닷컴의 매출이 25.2 증가하고 롯데백화점 엘롯데(20일~26일 기준)는 50.4%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홈쇼핑도 블랙페스타 기간 36.5% 증가하고 오프라인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도 15.4% 12.7% 증가했다.
롯데닷컴 관계자는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부츠와 롱패딩 등 시즌행사 상품이 잘 팔렸다"며 "보그스 부츠와 에고이스트 롱패딩 경우 준비된 1차 물량이 일찌감치 소진돼 2차 재고를 급하게 추가했다"고 말했다.
오픈마켓 11번가에서는 블랙프라이데이 당일 매출이 전년대비 81% 증가했다. SK플래닛에 따르면 Δ조말론 향수 ΔLG UHD 65인치 TV Δ아이오봇 브라바 청소기 등 타임세일 상품들이 총 5회 완판되며 매출증가를 견인했다.
SK플래닛 관계자는 "LG·삼성 TV는 700대 정도 판매됐고 나이키 운동화와 노비스·무스너클·맥케이지 패딩 등도 인기를 끌었다"고 말했다.
G마켓에서도 해외직구 매출(전년대비 25% 증가)이 꾸준히 늘어난 데 힘입어 11월20일~26일 기준 매출이 전년대비 13% 신장했다.
◇'롱패딩' 등 겨울아우터 잘 팔려 실적 견인…오프라인도 선방
신세계몰은 20일부터 26일까지 연중 최대 할인폭으로 진행되는 '시그니처 세븐데이즈' 행사를 열어 전년 대비 매출이 33% 신장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급격히 추워진 날씨에 롱패딩 등 겨울 아우터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다'며 "빨래건조기, 공기청정기 등 겨울철 필수 가전도 매출 신장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소셜커머스 티몬은 24일부터 26일까지 가전·디지털 카테고리 매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186% 증가했고 패션·뷰티 카테고리(20일~26일 기준) 약 30% 증가했다고 밝혔다.
티몬 관계자는 "9만원대 24인치 모니터, 10만원대 태블릿 PC 등 경쟁력 있는 상품을 특가로 판매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말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채널에서도 블랙프라이데이에 맞선 할인전을 펼쳐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은 기존점 기준 매출이 전년대비 15.4% 신장했다. 이른 한파가 닥치면서 난방기구를 비롯해 단가가 높은 겨울아우터가 잘 팔려 실적을 견인했다고 롯데 측은 설명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평창동계올림픽을 기념해 롯데백화점에서 기획한 '평창 롱패딩' 열풍도 매출 호조에 기여했다"며 "다만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직접 기여했다기보다는 홍보와 집객 효과를 높여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축산과 패션에서 각각 49.5% 24.3% 신장하며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전년대비 전체 매출이 12.7% 증가했다.
이를 두고 유통업계에서는 과거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해외직구'가 중심이었지만 지난해부터 점차 국내 업체를 통한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봤다.
롯데·신세계·이베이코리아 등 각 사들의 직배송 시스템 도입 등 해외 배송비를 고려하면 가격 차이가 크지 않게 되면서 해외직구 열풍이 다소 잠잠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해외 사이트를 통한 직구 가격이 국내 업체보다 훨씬 저렴했지만 최근엔 국내 할인 행사를 잘 활용해도 걱정 없이 비슷한 가격대에서 구매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해외에서의 대형할인 행사에 국내 수요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국내 업체들이 맞불을 놓아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라며 "국내 사이트들이 배송 문제를 개선하면서 이용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말했다.
ideaed@
'마트·온라인·슈퍼·백화점 > 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시스] 유통가 산지직송서비스는 진화 중…'청정텃밭'에 '새벽배송'도 (0) | 2017.12.07 |
---|---|
[파이낸셜뉴스] 내년 유통가 주요 이슈는 '최저임금 인상·규제 강화' (0) | 2017.11.28 |
[조선비즈] '최저임금 1만원' 앞두고 편의점업계 무인화 경쟁 '가속도' (0) | 2017.11.28 |
[파이낸셜뉴스] 유통가, 광군제 특수 함박웃음(종합) (0) | 2017.11.15 |
[이데일리] '사드 학습효과?'…인니行 줄잇는 유통업계 (0) | 2017.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