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유통업·신사업·물류/물류계

[뉴스1] "인건비 더 줘도 일할 사람 없어요"…'택배 상하차' 터미널도 비상

Jacob, Kim 2018. 1. 22. 15:30







2018년 1월 21일자





인력도급업체 300~400곳 추정…구인난에 임금인상 가중
택배회사 "직고용 어려워"…악화시 택배비 인상으로 불똥?






[기사 전문]




(서울=뉴스1) 양종곤 기자 = #경기도에서 A택배회사와 하도급계약을 맺고 상·하차(짐을 싣거나 내림) 인력을 운영해 온 B(46)씨. 택배 상하차 작업이 일명 '지옥의 알바'라고 불릴 정도로 일이 힘들다고 알려진 탓에 이 일을 시작한 이후로 늘 인력난을 겪어왔다. B씨의 고민은 올해 더 깊어졌다. 최저임금이 올라 감당해야 할 인건비 부담이 커져서다. B씨는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이면 올해 도급업체 가운데 '더 이상 일을 못하겠다는 곳'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택배 터미널에도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이 매섭게 몰아치고 있다. 가뜩이나 일이 고되 일할 사람을 못 구하고 있는데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까지 커졌기 때문이다. 일부 택배 터미널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폐업까지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택배 터미널이 문을 닫게 되면 중소형 택배사들은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다. 자체 물류센터가 없는 중소형 택배업체들은 이같은 택배 터미널을 이용, 물류망을 구축하고 있다.

21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택배산업에서 최저임금 대상자는 2만7000여 명이다. 이들은 전국적으로 300~400곳으로 추정되는 터미널에서 상·하차와 물품 분류작업을 맡고 있다. 



B씨의 회사처럼 터미널 내 도급업체는 상·하차 인력들에게 설, 추석과 같이 택배가 몰리는 특수기에는 웃돈을 주지만 평일에는 최저임금 수준에 맞춰 임금(시급)을 지급해왔다. 택배 물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하거나 장기 근로계약을 맺기 어렵다.

택배회사는 상·하차 인력을 직접 고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택배회사는 대리점과 계약을 맺고 택배기사를 간접적으로 고용하는 데 터미널도 마찬가지다. 택배회사는 터미널 상·하차 인력을 도급업체를 통해 충당해왔다. 인건비 부담은 일단 도급업체가 지게되는데 영세한 업체가 대부분이다. 



결국 문제를 해결하려면 택배회사가 도급업체의 인건비 부담을 나눠 지거나 택배회사가 일부 상·하차 인력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 하지만 두 방안에 대해 도급업체와 택배회사 모두 난색을 표한다.

B씨는 "작년보다 70%가량 인상하는 안을 들고 택배회사와 계약 협상을 시작했는데 어떻게 결론날지 모르겠다"고 조심스러워했다. A택배회사 관계자는 "택배는 수주산업 특성상 상하차 인력을 상시 인력(직접 고용)으로 두기 어렵다"고 전했다.



영세 택배회사와 도급계약을 맺은 터미널의 경우 상황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도급업체의 가격인상 요구를 받아줄 여력이 대형 택배회사 보다 그만큼 낮기 때문이다.

택배시장(2016년 기준)은 CJ대한통운(44%)에 이어 한진과 롯데택배(나란히 12%), 우체국(8%), 로젠택배(7%) 등 5개 회사가 점유율 83%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17%가 10여개 영세업체의 몫이다. 그 결과 업체간 경쟁이 심해졌고 수익성 지표인 택배 단가가 낮아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택배단가는 평균 2500원 수준인데 택배회사로 돌아가는 수익은 약 3%에 불과한 실정이다.



C택배회사 관계자는 "터미널의 상하차 인력 수급은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인력난을 이유로 우리가 직고용을 선택한다면 인건부 부담에 따라 택배비까지 오르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ggm11@






원문보기: http://news1.kr/articles/?3204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