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유통업·신사업·물류/기획·특강

[이데일리특집] 특단대책 내놓고 정부·노조 설득 나선 GM

Jacob, Kim 2018. 2. 9. 21:33







2018년 2월 9일자






[기사 전문]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철수설은 그동안 여러 차례 불거졌다. 매번 ‘설(說)’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는 게 업계 안팎의 시선이다. 한국GM은 고질적인 ‘고비용 저효율’ 구조로 인해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GM 본사가 구조조정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GM이 산업은행에 유상증자 참여를 요구한 것을 두고 ‘최후통첩’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GM이 ‘벼랑끝 전술’을 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철수설을 전략적으로 흘리면서 한국 정부로부터 최대한의 지원을 이끌어내려고 한다는 설명이다. GM의 한국 시장 철수는 ‘실직대란’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GM이 정부의 ‘아킬레스건’을 쥐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GM의 한국GM 정상화 방안의 핵심은 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다. 이를 통해 한국GMGM 본사로부터 차입한 자금을 상환하고, 1만6000명에 달하는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GM은 산은의 대출 재개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GM은 신용도가 낮아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리지 못해 그동안 GM 본사에서 자금을 차입해 사용해 왔다. 지금까지 누적된 차입금은 3조4000억원에 달한다.



GM은 산은의 증자 참여를 조건으로 한국GM에 신차를 배정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크로스오버 등 시장성이 있는 신차를 투입하면 공장 가동률도 높아지고 수출도 늘어날 것이란 설명이다.




◇ 20만명 고용 문제와 직결


GM이 정부의 지원을 강하게 압박하는 배경에는 고용 문제가 있다. 한국GM이 폐쇄될 경우 직원 1만6000명과 협력사 직원 20만명이 당장 실직자가 된다.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고 있는 정부 입장에서는 피하고 싶은 시나리오일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자본투입과 함께 신차가 투입되면 수년째 불거졌던 철수 논란에서 벗어나 1만6000명의 한국GM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며 “수백개에 달하는 부품사들의 고용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GM이 한국 철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은 노동조합을 압박하기 위한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의 지속적인 파업은 한국GM의 발목을 잡고 있는 대표적 요인으로 꼽힌다. 수출이 감소하고 판매가 줄어드는 가운데서도 한국GM 직원들의 연봉은 계속 올랐다. 2013년 7300만원이던 1인당 연간 평균 연봉은 지난해 8700만원으로 약 20% 뛰었다. 한국GM 출범 당시인 2002년과 비교하면 2.5배 상승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국GM 노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선 노사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지난 7일 임금협상에 돌입했다. 통상 4~5월께 임금 및 단체협상을 시작한 전례에 비춰보면 노조가 현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GM 본사에서 다시 불지핀 철수설


GM의 한국 철수설은 지난해 10월을 전후해서도 불거진 바 있다. GM이 2002년 옛 대우차를 인수하면서 맺었던 ‘15년간 경영권 유지’ 약속이 만료된 시점이다.

특히 지난해 8월 한국GM 사장으로 부임한 카허 카젬이 구조조정 전문가라는 점은 GM의 한국 철수설을 더욱 키우는 배경이 됐다. 그는 직전 부임지인 GM 인도법인의 대표로 일하면서 인도 현지 내수시장 철수와 일부 수출용 공장을 제외한 인도 생산기지 매각 작업을 마무리 지은 경력이 있다.




최근 GM 고위 인사들의 발언과 행보도 심상치 않다.

지난 6일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콜에서 한국GM에 대해 “조치를 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철수설에 다시 불을 지폈고, 배리 앵글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이 조만간 방한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등 관계자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앵글 사장은 지난달에도 방한해 노조와 만난 자리에서 “인원 감축과 구조조정, 철수설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검토하고 있으며, 군산공장은 현재로선 정부의 도움 없이는 해결책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부평ㆍ창원공장 비정규직 노동자 200여명을 해고하기도 했다.




피용익 (yoniki@edaily.co.kr)






원문보기: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177526619108880&mediaCodeNo=257&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