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유통업·신사업·물류/기획·특강

[헤럴드경제특강] [유통규제의 딜레마] ①다이소 규제 논란…동네문구점 살리려 중소협력사 죽인다?

Jacob, Kim 2018. 2. 26. 02:55









2018년 2월 22일자





-문구판매 규제시 중소협력사ㆍ가맹점주 생존권 우려
-소비자 권익 해친다는 문제도…현재 불만 청원 봇물
-일각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울수도” 의견들
-동네 문구점 활성화 효과로 이어질지도 미지수로





[기사 전문]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우리는 중소상공인 아닌가요?”

생활용품 판매점 다이소의 문구 판매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일면서 동네문구점 보호 명분 하에 중소 협력업체와 가맹점주 등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ㆍ한국문구인연합회ㆍ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등 문구 관련 단체는 다이소로 인한 동네문구점의 매출 피해를 주장하면서 다이소의 문구류 판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다이소가 관련 단체, 동반성장위원회 등과 구체적 상생 방안 협의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협력업체들은 매출 하락을 걱정하는 처지에 놓였다. 협력업체들은 “동네문구점을 살리려는 것은 이해하지만, 자칫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울 수 있다”는 불만을 내놓고 있다. 다이소와 협력관계인 중소업체는 570여곳으로, 이중 문구업체는 90여곳이다. 




다이소에 대한 문구류 판매 규제가 동네문구점 보호 명분 하에 중소 협력업체ㆍ가맹점주의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은 다이소 매장에서 문구제품을 쇼핑하는 학생들 모습.





다이소에 펜을 납품하는 한국화이트산업의 경우 전체 매출의 70%가 다이소 관련 매출이다. 이 업체는 다이소를 통해 일본 수출도 하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다이소 규제로 문구류 생산이 줄어들면 규모의 경제 효과가 사라져 수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스케치북 제조업체인 희망노트사 역시 다이소와 거래하면서 2013년 50억원이었던 매출이 지난해 190억원까지 늘었다. 희망노트사 관계자는 “다이소를 통해 일본 수출 길이 열리면서 회사가 빠르게 커왔는데 이번 규제로 성장이 멈추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했다.

일부 문구 제조사 역시 다이소에서 디자인을 제공받아 상품 경쟁력을 확보해왔는데 문구 판매가 제한될 경우 이같은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초등노트를 생산하는 ‘다다’는 2016년부터 다이소에서 제공한 디자인을 상품화해 매출 증대를 경험한 업체 중 하나다. 한국화이트산업 측도 패키지와 상품 디자인을 다이소에서 제공받은 뒤 매출 상승 효과를 봤다고 했다.




문구류 판매 제한 움직임에 다이소 가맹점주들의 걱정 또한 크다. 전국 1200여개 다이소 점포 중 450여곳은 가맹점이다. 문구류 판매가 제한될 경우 매출 하락은 불가피하다. 다이소의 한 가맹점주는 “우리도 골목상권에서 시작한 중소상공인인데, 중소상공인을 보호하겠다며 또다른 중소상공인의 손발을 묶는 게 말이 되느냐”고 항변했다. 




다이소 도곡점 문구매대 상품들.






다이소에 대한 문구류 판매 규제가 소비자 권익을 해칠 수 있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다이소가 지난 7일 상생안을 발표하고 문구판매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규제에 반대하는 내용의 청원이 10여건 가량 올라온 상태다. 한 소비자는 “가뜩이나 물가가 올라서 서민들도 힘든데 무턱대고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했다. 또 다른 소비자는 “동네 문구점에서 2000원치 사고 카드 결제하면 눈치 엄청준다. 그런 불편함부터 좀 해결하라”고 지적했다.

다이소 규제가 동네 문구점 활성화로 이어질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대형마트 영업일 규제가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유사한 맥락이다. 다이소 문구류 선호 이유가 ‘가성비’라는 점에서도 기존 수요가 동네 문구점으로 옮겨가는 대신, 온라인몰이나 대형 문구 전문점을 찾을 가능성이 커보인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다이소를 이용하는 데는 정찰제, 쇼핑 편의성 등 여러 이유가 있을텐데 동네문구점이 부진한 원인부터 정확하게 진단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정확한 원인이 나와야 정책 실패를 줄일 수 있고, 단순히 정부 개입으로 특정 업태를 보호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했다. 그는 “다이소는 한국 기업임에도 일각에서 일본 기업으로 오인받고 있는데, 그런 점에서 규제 대상이 됐다는 얘기도 시장에 떠돈다”고 했다.







ham@heraldcorp.com








원문보기: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222000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