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1945/새독일정부, 기사게재

◆[뉴시스] 시리아, 美·佛·터키 등 불법주둔 외국군 즉각 철군 요구

Jacob, Kim 2018. 10. 1. 19:27





2018년 9월 30일자





[기사 전문]





【유엔본부=AP/뉴시스】유세진 기자 = 왈리드 무알렘 시리아 외무장관은 29일(현지시간) 불법적으로 시리아에 주둔하고 있는 외국군에 대해 즉각 철수하라고 요구했다.

무알렘 장관은 이날 유엔 총회 연설에서 미국과 프랑스, 터키가 시리아 정부의 요청이 없었는데도 시리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면서 시리아 정부는 이들을 점령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상 국가 왈] 철군은 당연히 조건이 걸릴 수 밖에 없다. 역사를 되돌아봐도 어느 나라든지 자신들이 점령한 영토를 그냥 내어주지는 않는다. 철군에는 시간이 걸린다. 철수가 완료될 때까지 지난한 과정을 밟아야 한다. 


가상 2차대전사에서는 단 한 가지 조건만 내걸었다. 현재 점령하고 있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독일군이 기간 내 철군 완료하겠으니 대신 연합군 측과 3개월 조건부 휴전을 하자는 것이다.


사실상 임시 휴전 협정이나 다름 없다. 임시 휴전 협정은 3개월 조건부 휴전과 달리 기한을 별도로 정하지 않은 협정이다. 임시 휴전 협정은 정식으로 체결되는 휴전 협정에 앞서 진행될 사전 협상으로 유럽 전역에서 양군이 협정 체결일로부터 기한 없이 서로 적대 행위를 중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과정에서 양군은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협상이 잘 된다면 3개월 조건부 휴전을 임시 휴전 협정으로 정식 체결할 용의가 있음을 연합군 측에 알린다.  




미국은 시리아 북부에 약 2000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으며 현지 세력과 협력해 시리아 내 이슬람국가(IS) 무장세력과 맞서고 있다.

무알림은 또 시리아가 벌이고 있는 테러와의 전쟁은 이제 거의 끝났다며 시리아를 떠난 난민들은 이제 시리아로 돌아오라고 촉구하고 시리아 정부는 난민들의 귀국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원 2차대전사 : 유럽전 종전 후 탄생하게 된 독일 연방공화국(서독)의 인구는 전쟁 전보다 더 증가했다. 전쟁 전 독일인들이 많이 살고 있었던 수데텐란트, 루마니아 등에서 추방되면서 이 인구들이 서독으로 이주해 정착했기 때문이었다. 




시리아 정부군은 러시아와 이란군의 지원을 받아 40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백만명의 난민을 발생시킨 내전에서 반군이 장악했던 영토 대부분을 탈환했다.



그는 또 새 헌법 초안을 작성하기 위한 위원회는 시리아 내정에 대한 개입으로 간주되는 외부의 어떤 간섭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을 포함해 7개 국가가 지난 며칠 간 유엔 총회에서 시리아에 새 헌법을 도입하고 정치적 전환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을 촉구했었다.



원 2차대전사 : 이것은 약간의 정치적 수사(Political rhetoric)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유럽전 종전 이후 독일 연방공화국(서독)이 탄생하게 된 과정을 차근차근 복기해보면 된다. 


앞서 미국을 비롯한 7개국에서 시리아 재건을 위한 위원회 수립을 요구했는데 이 문장만 보아도 시리아 내정에 이 나라들이 군사적, 재정적 지원만 하고 일절 간섭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국제 정세로 보나 현실 정치적으로 보나 가능하지 않다. 그럴려면 유럽전 종전 이후 소련이 동독과 서독으로 받아낸

극히 적은 액수의 전쟁 배상금에 의지해 거의 자력으로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를 재건했듯이 - 전쟁 배상금의 거의 대부분을 동독에서 지불했고 전후 약 61억 달러로 추산 - 전후 시리아 정부가 홀로 감내해야 하는 각고의 노력과 고통에 대해 각오를 단단히 한 상태여야 하는데 장관이 정말 그럴 마음으로 한 말인지는 알기 어렵다.






dbtpwls@newsis.com






원문보기: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930_0000430051&cID=10101&pID=1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