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1945/비대칭, 저강도전쟁 1210

[헤럴드경제] 다시 눈길 끄는 北·이란 미사일 커넥션

2020년 1월 9일자 [기사 전문] “北 이란에 군사기술과 장비 팔아 외화 획득” 北 ‘새로운 전략무기’ 이란 ‘호람샤르’ 연계 가능성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이란이 이라크 주둔 미군기지 2곳을 미사일로 공격한 가운데 북한과 이란 간 미사일 커넥션에 다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

[아시아경제] [양낙규의 Defence Club]북도발 가능 시나리오… 전방 심상찮다

2020년 1월 2일자 [기사 전문]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올해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어떤 형태의 도발방식이 전개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진행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새 전략무기', '충격적인 행동' 등을 언급해 도발 가능성은 여전히 높..

[조선일보] 본토서 조종한 美드론… 닌자폭탄 장착해 '핀셋 타격'

2020년 1월 6일자 [기사 전문] [솔레이마니 제거한 드론 '리퍼'] 시속 482㎞ '하늘의 암살자' 별명, 달리는 차량 조수석 조준타격 가능 부착된 카메라 원격조종 물체 감식… 주한 미군에도 암살용 드론 배치 이란군 실세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폭사(爆死)시킨 미군의 군사용 드론(무인기)..

[동아일보] 주한미군, 이미 ‘킬러 드론’ 보유…北지휘부 1m 오차 내에서 타격 가능

2020년 1월 6일자 [기사 전문] 미국이 3일(현지 시간)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고드스군 사령관 참수작전에 공격용 드론 ‘리퍼(MQ-9)’를 투입하면서 이른바 ‘킬러 드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새해 들어 ‘새로운 전략무기’ 도발 가능성을 ..

[문화일보] 美 ‘北, 핵·미사일 레드라인 넘으면 군사옵션’ 강력 경고

2020년 1월 6일자 [기사 전문] - ‘암살 드론’ 韓전격배치 배경 美국방장관·안보보좌관 등 배치 직전에 연일 대북경고 ‘그레이이글’ 12대도 운용중 B-52는 ‘벙커버스터’탑재 코피작전·참수작전 등 가능 미국이 지난 3일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암살한..

[아주경제] "김정은 新무기는 핵 고도화形, 한반도 핵우산 전략 전면 개편 필요"

2020년 1월 4일자 [기사 전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언급한 '새로운 전략무기'가 기존 핵무기의 고도화와 다양화에 초점이 맞춰짐에 따라 한반도 핵우산 전략의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신형 전략무기 고도화와 다양화로 첫손에 꼽히는 것은 다탄두 재돌입 탄도 미..

[아시아투데이] 미국 외교협회(CFR) “미 정보당국, 북한 30~60개 핵무기 보유”

2019년 12월 25일자 [기사 전문] 미국이 분석한 핵무기·탄도미사일 능력 눈길…"잠재사거리 위협적" '화성-15형 ICBM', 발사궤도 조정시 "잠재사거리 미국 본토 닿는다" "탄도미사일, 중국 GPS 유도 사용" 주장에…정확성은 여전히 의문 미국 외교협회(CFR)가 북·미 비핵화 협상이 난항을 겪는 ..

[문화일보] < What >옛 소련 미사일에 중국 기술력 더해 40여년만에 ICBM·SLBM 성공

2019년 12월 19일자 [기사 전문] 北 미사일 개발史 북한이 탄도미사일 개발에 착수한 것은 1970년대 옛 소련의 액체연료 스커드 탄도미사일을 도입하면서부터다. 북한은 1976년 군사원조 대가로 이집트로부터 최소 2발의 단거리 스커드 미사일 R-17을 수입했고, 이를 해체해 재조립하는 방식을 ..

[문화일보] < What >백두산 엔진 3~4개 묶어 ‘核 다탄두’ 장착 발사땐 MD 무용지물

2019년 12월 19일자 [칼럼 전문] 2017년 7월 ICBM ‘화성-14형’이 이동식 발사차량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 420초 로켓시험으로 본 北 미사일 성능 추정 1차 로켓 조합따라 ICBM·정찰위성 등 자유자재… 액체연료 2개면 美전역 사정권 기습타격용 고체연료로 세대교체… 늦어도 내년초 SLB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