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기사, 사실은/친미비중(親美非中) 436

[연합뉴스자료] [헝가리] 시리아 동부 곳곳 아랍 주민 '쿠르드 지배' 반발 시위

2019년 5월 1일 작성, 2020년 3월 22일 수정 ◆종족주의 민족 (국가) 주 종족 부 종족 권한 행사 예<○ 직위> 게르만 민족 (도이치) V 1. 동부전선 병력 서쪽으로 철퇴 2. 소련과 독-폴란드 국경 협상 3. 미국·영국·소련 세 나라 이해 역학관계 따짐 4. 미국과 3개월 조건부 휴전 조약 체결, 공..

[한국경제→미디어펜] [신간]조선 몰락 부른 고종의 외교…문재인 정부는 안녕할까?+어디 지켜봅시다. 진짜로 맞아들어가겠군요!

2020년 3월 16일자 [칼럼 기사 전문]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오늘의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나라는 망치는 리더십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자기 연민과 자기 긍정으로 정신 승리를 외치는 한 갈등은 사그러 들지 않는다. 한 쪽만 보고 달리는 외바퀴 정책은 결국 실패로 귀결된..

[한국경제→아시아경제] [양낙규의 Defense Club]코로나에 쌓인 주한미군의 고민+상우씨 왈

2020년 3월 14일자 [기사 전문]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주한미군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의 이동을 금지시켜 주한미군의 순환배치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 속에 방위비분담금 마찰로 인해 한국인 근..

[아시아경제] [양낙규의 Defense Club]미 연합훈련, 한국 대신 일본 택하나

2020년 3월 7일자 [기사 전문]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미국과 일본이 연합훈련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한미연합훈련은 연기했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는 일본과는 연합훈련을 오히려 늘리고 있어 한미동맹 대신 미일..

[아주경제] [주재우의 프리즘] 한.중 운명공동체? 전염병 끝나면?

2020년 2월 13일자 [칼럼 전문] [주재우의 프리즘] 중국발(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에 국민들의 불만은 다양하다. 방역에서 검역체계까지, 바이러스 보균 의심자와 확진자의 격리부터 지금도 국내로 유입되고 있는 중국인 관광객과 앞으로 돌아올 약 7만여명..

[강성학 칼럼] 한국외교 ‘백 투 더 퓨처’ 가능할까

2020년 2월 6일자 [칼럼 전문]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은 1948년 건국과 함께 수립되고 유지되던 대한민국의 근대적 외교정책의 궤도에서 일탈, 유교적인 전근대적 국제질서의 세계관인 낡은 궤도로 진입하여 멈출 줄 모르는 설국열차처럼 질주하고 있다. 유교적 세계관에서는 ‘작은 나라..

[한국일보] [조병제의 현실외교] 뉴노멀(New Normal) 상상력이 필요한 한국 외교

2020년 2월 17일자 [칼럼 전문] 분단, 지정학이 우리외교 제약 현실 변화에 뒤처지지 않는 전략 찾기 필요 뉴노멀시대에 걸맞은 외교 고심해야 한국은 세계 12위 경제대국이고 7대 군사강국이다. 민주화에 성공한 몇 안 되는 아시아 국가의 하나다. 거의 매일 크고 작은 시위가 열리지만, 폭..

[한겨레] [유레카] 대북제재와 대남제재 / 고명섭

2020년 2월 11일자 [칼럼 전문] ⓒ 한겨레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으로 유엔 대북제재는 2017년 최고조에 이르러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경제제재는 성을 봉쇄해 물자를 바닥나게 함으로써 성 안의 사람들이 손을 들고 나오게 하는 일종의 외교적 공성전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은 지난해 2..

[아주경제] [주재우의 프리즘] 文 '몰빵외교'에 슬쩍 발뺀 북.중.미 ..의문의 3패?

2020년 2월 27일자 [칼럼 전문] [주재우의 프리즘] 코로나19 위기사태로 국내 정치와 경제가 어수선하다. 정치는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위기를 정치화하면서 책임공방전으로 혼란스럽다. 경제는 2% 안팎의 성장률이 1%대로 하향 조정되고 있다. 그럼 우리의 외교전선은 어떠한가. 먹구름이 몰..

[국민일보] [한반도포커스] 코로나 사태로 한·중관계 읽기

2020년 2월 3일자 [칼럼 전문] 신종 코로나 사태는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한·중 관계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문재인정부는 중국에 대해 500만 달러의 인도적 지원 계획을 발표하는 등 성의를 보였음에도 중국 정부는 한국 전세기 일정을 느닷없이 지연시키는 등 푸대접을 했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