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유통업·신사업·물류 1789

[서울경제] 활짝 웃은 대형마트...쓴웃음 진 백화점 [각사취합]

2017년 5월 8일자 ■유통업계 황금연휴 실적 희비 나들이 떠나는 고객 몰려 롯데·이마트·홈플러스 매출 두자릿수 괄목성장 다양한 할인이벤트 불구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 매출 2~3%대 신장 그쳐 [기사 전문] 5월 가정의 달과 황금 연휴 특수를 기대했던 유통업계는 대형마트와 백화..

[아시아경제] "황금연휴 끝나가는데" 유통가, 기대보다 못한 실적에 냉가슴 [각사현황]

2017년 5월 8일자 봄 세일 죽 쑨 백화점들 분위기 반전 실패 대형마트는 10%대 신장했으나 '역대 최고 매출' 예상에 비하면 미흡 [기사 전문] 5월 '가정의 달'과 '황금 연휴'를 맞아 소비 특수를 기대했던 유통업계 표정이 밝지 않다. 황금 연휴에 불어닥친 미세먼지와 황사가 내수 소비의 발목..

[조선비즈] 쇼핑몰 허가 차일피일… 지자체 눈치보기에 후보지 '흉물'로

2017년 5월 8일자 [유통산업 '입지 규제' 영향] 유통업체 과잉 진출로부터 전통시장·소상공인 보호 명분… 지역 상인들 반대에 속수무책 일부 정치인 개입하며 쟁점화… 지자체끼리 갈등 빚기도 공사 끝내고도 주민 반대로 몇 년째 영업 못하는 경우도 [기사 전문] 지난 6일 서울 마포구 상..

[아시아경제] 이마트 전국매출 1위 은평점 추락에서 부활까지

2017년 5월 7일자 서북권 유통대전·시설 노후화에 마이너스 성장 전문점 앞세운 대대적 리뉴얼로 다시 1위 회복 [기사 전문] 이마트 은평점 전경. 이마트 서울 은평점은 국내 147개 이마트 매장 중 가장 매출이 많은 매장이다. 국내 마트업계 선두주자인 이마트의 전국 1등 점포라는 상징성..

[동아일보] 백화점 업계, 연휴 매출 2~4%대 소폭 증가 [각사현황]

2017년 5월 8일자 해외여행 늘고 미세먼지 겹친 탓 [기사 전문] 황금연휴 기간 백화점 업계의 매출이 2∼4%대 늘어나는 데 그쳤다. 7일 롯데백화점은 1∼6일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했다고 밝혔다. 롯데백화점 측은 “5일까지는 매출 증가가 두드러졌으나 6일 미세먼지, 황사의 영..

[디지털타임스] 이마트 "황금연휴 매출 전년동기비 10% ↑" [이마트]

2017년 5월 8일자 [기사 전문] 이마트는 황금연휴 기간인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었다고 8일 밝혔다. 오프라인 점포 매출은 10.5%, 온라인몰 매출은 0.5% 늘면서 오프라인 신장률이 온라인을 넘어섰다. 특히 가전, 나들이 먹거리, 바캉스 패션 매출이 ..

[머니투데이] 이마트몰 신선식품 매출, 모바일이 PC 2배 [이마트몰]

2017년 5월 7일자 모바일 2014년 28.0%에서 올해 1분기 67.8%로 상승…간편 장보기 시대 가속 [기사 전문] 이마트몰의 신선식품 매출 중 모바일에서 판매된 매출이 PC 매출의 2배를 넘어섰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가 구매력이 큰 30~40대로 진입하면서,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를 중심으로 모바..

[머니투데이] 온라인쇼핑 3개월만에 증가했지만…中 사드 영향도 '본격화' [모바일]

2017년 5월 4일자 통계청, 3월 온라인쇼핑 동향 발표…화장품 모바일 구매액 이례적 급감, 해외 직판도 사드 영향권 [기사 전문] 사진제공 = 통계청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경제보복 영향이 온라인쇼핑 시장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모바일 구매액이 큰 ..

[파이낸셜뉴스] 온라인쇼핑 전년比 21% 급증… 모바일 비중 59% [모바일]

2017년 5월 4일자 거래액 6조3천억 역대최고 해외 직접구매액 20% 늘어 [기사 전문]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6조325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3%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3조7319억원으로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에서 모바일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머니투데이] 최저임금·대규모점포 규제…유통업계 대선공약 '속앓이'

2017년 5월 2일자 최저임금 1만원 인상, 대형마트 편의점 등에 직격탄…대규모 점포 규제 강화 '엎친데덮친격' [기사 전문] 대통령 선거 막바지 주요 후보들의 분야별 공약이 제시되면서 유통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등 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한 소비 침체로 활로..